2025/07/04 3

펫 디지털 장례의 모든것

반려동물은 더 이상 '애완동물'로 불리지 않는다.고양이, 강아지, 토끼, 앵무새, 심지어 햄스터와 금붕어까지도 어떤 사람에게는 가족 그 이상이다. 함께 먹고, 자고, 대화하며 수년간 삶을 나눈 존재가 세상을 떠날 때, 그것은 단순한 동물의 죽음이 아니라 '관계의 단절'이자 '진짜 이별'로 다가온다.그러나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는 반려동물의 죽음을 '간단히 처리해야 할 문제' 정도로 취급한다. 지정된 장소에서 화장하거나, 폐기물로 분류되는 일도 빈번하다. 이런 현실 속에서 사람들은 직접 반려동물을 추모하고 기억할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그 해답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장례다. 펫 디지털 장례는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난 이후, 사진·영상·음성·사연 등을 디지털 공간에 남기고, 온라인에서 추모하거나 추억을 공..

디지털 장례에서 유가족의 역할– ‘디지털 장례 디자이너’ 라는 직업의 가능성

과거 장례에서 유가족의 역할은 비교적 정형화되어 있었다. 고인의 마지막을 책임지고, 의식을 준비하며, 조문객을 맞이하고, 상주로서 예를 다하는 것이 일반적인 틀이었다. 장례식의 방식은 주로 종교적이거나 지역 전통에 따라 표준화되어 있었고, 그 안에서 유가족이 기획이나 창조적 판단을 할 여지는 거의 없었다.하지만 ‘디지털 장례’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유가족의 역할은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 온라인 추모관을 구성하고, 고인의 기록을 큐레이션 하며, 메타버스 장례식을 연출하거나 AI 기반 콘텐츠를 생성하는 등, 기술과 감성을 동시에 다뤄야 하는 새로운 책임이 생겨난 것이다. 이제 유가족은 단순히 장례를 ‘진행하는 사람’이 아니라, 고인의 기억을 어떻게 표현하고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기획자’이자 ‘설계..

디지털 장례와 팬덤 문화 – 연예인의 사망 이후 달라진 추모의 풍경

연예인의 죽음은 한 개인의 사망을 넘어, 그를 사랑하고 지지했던 팬들에게는 공적 상실(public grief)의 순간으로 다가온다. 누군가에게는 단순한 소식일 수 있지만, 오랜 시간 정서적으로 연결돼 있던 팬들에게는 그것이 실제 가족의 죽음처럼 다가올 수 있다. 이러한 감정적 충격은 과거에도 존재했지만, 최근 들어 추모의 방식과 양상이 확연히 달라지고 있다. 바로 ‘디지털 장례’라는 새로운 추모 문화의 확산 때문이다. 특히 K-POP이나 배우 팬덤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활동은, 연예인의 사망 이후 팬들이 자발적으로 고인을 추모하고, 디지털 공간에 기억을 보존하며, 공감과 위로를 나누는 장례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 장례가 가족과 지인을 위한 사적인 의례였다면, 디지털 장례는 팬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