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장례는 더 이상 보조적 장례 형식이 아니다. 온라인 추모관, 메타버스 헌화, 생중계 장례식, AI 고인 음성 복원까지, 고인을 기리는 공간은 점점 더 정제되고 다채로운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두드러진 흐름 중 하나는 ‘비공개 추모’ 기능의 확산이다. 전통적인 장례가 마을과 공동체의 장이자 사회적 의례였다면, 디지털 장례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프라이버시 요구에 맞춰 고인을 기리는 방식 자체를 맞춤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들이 슬픔을 표현하거나 공유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기존의 일방적 조문 문화를 넘어 쌍방향, 선택형 애도의 구조가 생겨났다. 이 과정에서 고인을 기억하는 방식, 조문객과 감정을 나누는 범위, 애도 메시지의 표현 강도 등도 개인화되고 있으며, ..